많은 투자자들이 매수 타이밍에만 집중하지만, 실제 수익을 확정짓는 것은 바로 매도 타이밍입니다. 특히 명확한 손절 기준이 없다면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타, 스윙, 중장기 전략별로 실전에 유용한 손절과 매도 방법을 자세히 정리해봅니다.
① 단타 매매에서 손절·매도 타이밍 잡는 법
단타 매매는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수익을 실현하는 전략이기 때문에, 손절과 익절 기준이 매우 명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초가 또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손절 라인은 -2%에서 -3%, 익절 라인은 +3%에서 +5% 수준이 대표적입니다. 거래량이 급감하거나 분봉 차트에서 하락 반전 신호가 나타날 경우 즉시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타 요약 | |
---|---|
손절 | -2%~-3% 이탈 시 |
매도 | 3~5% 수익 시 + 거래량 급감 |
② 스윙 매매에서 손절·매도 타이밍 잡는 법
스윙 매매는 3일~2주 내외의 흐름을 타는 전략입니다. 매수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상승 흐름이 이어지지 않거나, 5일선 또는 20일선 이탈 시점을 손절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익절 타이밍은 저항선 돌파 후 거래량이 줄어드는 시점 또는 목표 수익률 7~10% 달성 시 분할 매도로 접근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기관·외국인의 순매수 추세가 꺾이면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윙 요약 | |
---|---|
손절 | 5일선·20일선 이탈 |
매도 | 7~10% 도달 / 수급 이탈 |
③ 중장기 투자에서 손절·매도 타이밍 잡는 법
중장기 투자에서는 단기 등락보다 기업의 본질 가치 변화를 중심으로 손절과 매도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연속된 실적 악화, 부채비율 급등, 사업모델 변화 실패 등이 확인되면 손절을 고려해야 합니다. 익절 시점은 목표 시가총액 도달, PER/PBR 과열, 기관 이탈 등이 기준이 됩니다. 실적이 더 이상 주가에 반영되지 않는 시점이 매도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중장기 요약 | |
---|---|
손절 | 실적 악화 / 부채 증가 |
매도 | PER 고평가 / 실적 반영 둔화 |
📊 손절·매도 타이밍 핵심 요약표
전략 | 손절 기준 | 매도 기준 |
---|---|---|
단타 | 시초가 이탈 / -3% 이하 | 3~5% 도달 / 거래량 급감 |
스윙 | 20일선 이탈 / 추세 전환 | 7~10% 상승 / 수급 악화 |
중장기 | 실적 악화 / 부채 증가 | 가치 고평가 / PER 부담 |
📌 아래 글들도 함께 참고해보시면 매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주식 수익 인증 – 승률 100% 매매일지 보러가기
주식 수익 인증 – 승률 100%, 손절 없이 79종목 모두 익절한 실전 매매일지
제야에 고수들이 정말 많죠. 그런 분들 앞에서 이런 글을 쓴다는 게 솔직히 부끄럽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도 나름대로의 기준을 잡아가며 버텨온 시간들이 있어서, 용기 내어 이렇게 글을 남겨
maemblog.com
'국내 > 주식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속 핵심 지표 3가지 – PER·PBR·ROE 차이와 해석법 총정리 (0) | 2025.05.28 |
---|---|
장 초반 30분, 왜 중요할까? (0) | 2025.05.17 |
[실전 검증 완료] 단타·스윙·중장기 종목탐색에 자주 쓰이는 조건검색 총정리 (0) | 2025.05.12 |
[주식 계좌 어디서 만들까?] 국내 주요 증권사 비교 & 장단점 총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4.10 |
[처음 시작하는 주식투자] 왕초보를 위한 주식 완전 기초 가이드 (1) | 2025.04.09 |